<p></p><br /><br />요즘 커피전문점이나 패스트푸드점 중엔 플라스틱 빨대를 안 주는 매장이 많은데요. <br><br> 플라스틱이 환경을 파괴한다는 게 많이 알려졌기 때문이죠. 쌀·옥수수·공심채까지 다양한 재료로 만든 친환경 빨대도 늘어났습니다. <br> <br>‘경제를 보다’ 홍유라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이번 달 국내 패스트푸드업체 매장에서 최초로 빨대가 사라졌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주문하신 제품 나왔습니다." <br> <br>[현장음] <br>"이 뚜껑은 빨대 없이 이용하셔도 되는 거거든요. 빨대없이 이용해보세요." <br> <br>그대신 돈을 더 들여 음료의 뚜껑을 바꿨습니다. <br> <br>[양형근 / 패스트푸드업체 대외협력 이사] <br>"일회용품 저감을 위해 많은 요소들 고려해봤었는데, 고객이 가장 불편해 하지 않을 요소를 따져보니까 그 부분이 빨대더라고요." <br><br>만드는데 5초 걸리는 플라스틱 빨대. <br> <br>사용에 5분 분해되는데는 500년이 필요합니다.<br> <br>[이재륜 / 서울 관악구] <br>"사실은 플라스틱 자체를 안 사용하는 게 좋은데 빨대만이라도 사용 안 하면 제일 최선인 것 같긴 하거든요." <br><br>하지만 전국에서 1년에 250억개씩 사용됩니다.<br> <br>편리함 때문입니다. <br> <br>[송성연 / 경기 광명시] <br>"(빨대 없으면) 아무래도 조금 불편하죠. 들고 마셔야 하니까 불편한 점이 있어요." <br> <br>플라스틱을 줄이기 위해 먹을 수 있는 쌀빨대부터 공심채 빨대까지 다양한 친환경 빨대가 대체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플라스틱 빨대와 사용감이 비슷한 생분해 빨대가 인기입니다. <br><br>"제가 들고 있는 이런 옥수수가 빨대의 원재료로 쓰이는데요. 옥수수 전분을 추출한 알갱이로 이렇게 빨대를 만드는 겁니다." <br> <br>쓰고난 뒤 비료로 활용할 수 있고 최대 180일이면 100% 자연 분해됩니다. <br> <br>판매량도 껑충 뛰었습니다. <br><br>[함지연 / 생분해 빨대 회사 대표] <br>"(최근 판매량이) 10배 정도 늘어나는 과정이 발생했는데요. 환경을 위해서 사용하겠단 인식도가 높아졌단 뜻이죠." <br> <br>코로나19 이후 급증하는 플라스틱 사용량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덕분입니다. <br><br>하지만 1개에 40원으로 플라스틱 빨대보다 3배 비싼 가격이 대중화엔 걸림돌입니다.<br> <br>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싼 친환경 빨대를 고집하는 카페가 등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가게에 놓인 환경 실천 선언에서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[권예리 / 카페 대표] <br>"이건 6개월 정도면 분해가 되서 그런 장기적인 것 생각하면 생분해 빨대를 안 쓸 수가 없어요." <br> <br>재활용 가능한 스테인리스와 강화 유리, 실리콘 빨대 등을 판매하며 어느덧 친환경 빨대 전문가가 됐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딱딱한 이빨에 닿는 감촉 싫어하시는 분들은 이걸(실리콘 빨대) 더 좋아하시더라고요. " <br> <br>친환경 빨대 이용자가 늘어 대량생산에 들어가면 플라스틱 빨대와 유사한 가격으로 생산이 가능해질 거란 기대도 관련 업계에선 나옵니다. <br> <br>경제를 보다 홍유라입니다. <br> <br>yur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조세권 권재우 <br>영상편집 : 박형기